본문 바로가기
  • 미래를 만들다!

고사성어3

Vol8. 오늘의 한자 : 오늘은 배수지진(背水之陣)/ 배수진背水陣 ! Vol7. 배수지진(背水之陣)/ 배수진背水陣에 대해 궁금하시죠? 배수지진(背水之陣)이란 말 그대로 '물을 등지고 진을 친다'는 뜻으로,  막다른 곳에서 죽음을 각오하고 싸운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즉, 뒤로 물러날 곳이 없어 필사적으로 맞서 싸우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죠. 1. 배수지진(背水之陣)의 유래 배수지진(背水之陣)은 중국 역사서인 사기(史記)의 회음후열전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  한나라의 장군 한신이 조나라를 공격할 때, 좁은 협곡에서 강을 등지고 진을 치고 싸워 큰 승리를 거두었다는 일화입니다.  한신의 전략 : 한신은 적에게 포위될 위험을 감수하고 배수진을 쳐서 병사들의 사기를 높이고, 적에게 필사적인 저항 의지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적에게 심리적인 압박을 가하고,.. 2025. 1. 24.
Vol4. 오늘의 한자 : 수구초심(首丘初心)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고사성어 중 하나인 수구초심(首丘初心)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수구초심이란 무엇일까요?  한자 어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수구(首丘)는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굴 쪽으로 둔다'는 뜻입니다.  - 초심(初心)은 '처음 마음' 즉, 처음 시작할 때의 마음가짐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수구초심 首丘初心 은 '여우가 죽을 때 고향을 그리워하듯이, 처음 마음을 잃지 않고 간직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좀 더 쉽게 말하면, '초심을 잃지 않고 처음 시작할 때의 마음가짐을 유지한다'는 뜻이죠. 2. 수구초심(首丘初心)에 대한 자세한 유래 ​ 수구초심은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굴 쪽으로 향한다'.. 2025. 1. 15.
Vol2. 오늘의 이야기 한자 : 맹모삼천지교 "孟母三遷之敎" Vol1. 오늘의 한자 : 맹모삼천지교 (孟母三遷之敎) : 자식 교육을 위한 어머니의 헌신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는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의 교육을 위해 세 번이나 이사를 다녔다는 고사성어입니다. 이는 자식 교육의 중요성과 부모의 헌신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이야기로,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습니다.​1) 맹모삼천지교 (孟母三遷之敎)의 유래" 맹자의 어머니는 아들이 올바르게 성장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주변 환경의 영향력을 깊이 인지하고 있었습니다. 첫 번째 이사: 묘지 근처에 살 때 맹자가 묘지 파는 것을 흉내 내자, 주변 환경이 아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하고 시장 근처로 이사했습니다. 두 번째 이사: 시장에서 맹자가 장사하는 모습을 보고, 시장의 소란스러운 분위기가 학.. 2025. 1.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