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미래를 만들다!

목표달성2

Vol5. 오늘의 한자 : 절차탁마(切磋琢磨) 절차탁마 切磋琢磨는 뼈나 상아를 자르고 깎고, 옥이나 돌을 쪼아서 갈고 닦아 빛나게 하듯, 학문이나 기술을 끊임없이 갈고 닦아 완성도를 높인다는 의미입니다.  즉, 끊임없는 노력과 수양을 통해 자신을 더욱 발전시키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고사성어 1. 절차탁마 切磋琢磨 유래와 의미_ 기본적인 내용 요약  ​ - 유래: 시경(詩經)의 한 구절에서 유래되었으며, 공자와 그의 제자 자공의 대화에서 자주 인용되었습니다.  - 의미: 학문을 깊이 있게 연구하고 탐구하여 지식을 넓히고 사고력을 키우는 것  - 기술: 기술을 숙달하고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여 더욱 완벽하게 만드는 것  - 인격: 인격을 수양하고 도덕성을 함양하여 더 나은 사람이 되는 것 2. 절차탁마切磋琢磨 의 다른 표현 ​ - 여절여차여탁여마(如切.. 2025. 1. 17.
Vol1. 오늘의 한자 : "삼고초려" 三顧草廬를 알아봐요~ 三 顧 草 廬01) 삼고초려 三顧草廬의 세 가지 한자의 뜻:三 (삼): 셋 삼. 숫자 3을 뜻하며, 여기서는 '세 번'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顧 (고): 돌아볼 고. 뒤돌아보거나 다시 찾아본다는 뜻입니다. 草廬 (초려): 풀 초, 오두막 려. 풀로 지은 오두막, 즉 초가집을 의미합니다. 전체적인 의미: 삼고초려(三顧草廬)는 유비가 제갈량을 등용하기 위해 제갈량의 초가집을 세 번 찾아갔다는 고사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즉, **"귀한 인재를 얻기 위해 정성을 다해 여러 번 찾아간다"**는 뜻으로, 인재를 등용하거나 누군가를 얻기 위해 간절히 노력하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입니다. 02)활용 예시: 유비는 제갈량을 얻기 위해 삼고초려(三顧草廬)했다. 우리는 사업성공을 위하여 프로젝트를 성공시킬 수 .. 2025. 1. 10.
반응형